![]() |
(시사코리아-남재균 기자) 농촌진흥청과 산림청은 가을 독버섯 주의보를 발령했다.
덥고 습한 여름이 지나 가을이 되면 야생버섯 발생이 갑자기 늘어난다. 이때는 추석 성묘와 나들이, 산행도 증가하는 때인 만큼 보다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버섯은 건강에 좋은 식재료로 알려져 비전문가들도 온라인에서 얻은 불분명한 지식이나 일반 도감을 활용해 야생버섯을 채취하곤 한다.
그러나 일부 버섯은 사람의 생명을 위협할 정도의 강한 독소를 지니고 있어 중독사고에 주의해야 한다.
우리나라 버섯 2,170종 가운데 먹을 수 있는 버섯은 493종이고, 나머지 1,677종은 독버섯이거나, 먹을 수 있는지 없는지 분명하지 않은 버섯이다.
특히, 야외활동을 할 때 발견된 야생버섯이 식용버섯과 생김새가 비슷하다고 판단해 채취해 먹으면, 자칫 사망사고 같은 대형 사고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자제해야 한다.
색이 화려하면 독버섯이라거나, 은수저에 닿았을 때 색이 변하면 독버섯, 또는 끓이면 독이 없어진다 등 일반 상식처럼 알려진 독버섯 구별법은 대부분 잘못된 정보이므로 믿어서는 안 된다.
만약 야생버섯을 섭취한 후 메스꺼움·구역질·구토·설사·경련 등의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먹은 음식물을 토하고 바로 병원에 가서 치료받아야 한다.
이때 환자가 먹고 남은 버섯이 있다면 함께 가져가야 한다. 독버섯은 종류에 따라 각각 다른 독소 물질을 함유하고 있는데, 이 물질에 따라 치료법이 다르기 때문이다.
남재균 기자(news3866@naver.com) <저작권자 ⓒ 시사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관련기사목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