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0일 금융권에 따르면 KB·신한·하나·우리 등 4대 금융지주는 금년 배당성향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전인 2019년의 26% 안팎 수준으로 되돌린다는 내부 방침을 세웠다. 금융당국의 배당제한 권고 행정지도가 6월 만료되면서 당국은 2019년 배당성향을 참조할 것을 거론했기 때문.
배당성향이란 당기순이익 중 현금으로 지급된 배당금 총액의 비율을 일컫는다. 금년 각 금융지주의 이익이 크게 성장했다.
4대 금융지주의 금년 3분기 누적 총 당기순이익은 작년 동기 대비 34% 증가한 12조 2114억원을 기록했다. 금년 4분기까지 전년 대비 34~35% 가량 성장을 지속하면 4대 금융지주의 연간 당기순이익은 총 14조6000억원에 이를 전망이다.
2019년 기준 각 금융지주사의 배당성향이 26%(KB금융, 신한지주, 하나금융지주), 27%(우리금융지주) 였던 것을 고려하면, 금년 4대 금융지주의 배당규모만 3조8000억원으로 추산된다. 2019년 4대 지주 배당금 총액 (2조8671억원)에 비해 1조원 가까이 늘어날 것이란 전망이다.
앞서 은행권은 중장기 배당성향 목표를 30% 안팎으로 세우고 점진적으로 배당성향을 상향하는 주주환원책을 추진해왔다. 그러나 작년 금융당국이 코로나19 사태에 대비한 건전성 강화를 위해 배당성향을 20% 이내로 제한하면서 일시적으로 배당이 감소했다. <저작권자 ⓒ 시사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관련기사목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