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금융위원회 이동훈 금융정책과장은 지난 7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개최된 '통화정책 정상화와 자산시장 영향' 토론회를 통해 “지난해에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영향으로 생계자금과 주식시장 과열로 신용대출이 많이 늘었지만 올해는 신용대출이 지난해보다 반토막으로 줄은 반면 전세대출과 정책모기지, 집단대출 등 3가지가 가계부채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정책과장은 “풍선에 빵빵하게 들어간 바람을 미리 빼놓아야 나중에 충격이 오더라도 충격 효과를 반감시킬 수 있어 내년 초까지는 타이트하게 (가계대출을) 관리할 것"이라고 힘주어 말했다.
이어 “긴축 체감도를 구체화하고 가시화할 계획으로 긴축이 시작되면 금융사들은 취약차주부터 대출을 거절하고 고신용자 위주로 영업을 하는 것이 쉬운 방법이지만 이렇게되면 취약차주들이 대출절벽에 직면할 수 있다”면서 “대출 절벽보다는 1억원 대출 받을 수 있는 사람을 5000만원 정도 받을 수 있게 하는 등 긴축의 고통을 분담하는 방향으로 유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금융위 이세훈 사무처장은 “가계부채 총량관리에 만전을 기하는 한편 코로나19 장기화로 취약계층의 어려움도 여전하므로 대출만기연장·이자상환유예조치·재정지원 등을 통해 이들에 대한 지원이 병행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 사무처장은 “올해 중 정책모기지, 집단대출 등 실수요 대출들이 가계부채 증가세를 주도하고 있는데 가계부채를 내포한 거시 건전성 측면의 리스크 완화를 위해 이부분 관리를 섬세하게 고민할 필요가 있다”면서 “상대적으로 외부 충격에 취약할 수 있는 2금융권의로의 풍선효과도 촘촘히 관리할 것”이라고 부연했다. <저작권자 ⓒ 시사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관련기사목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