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 박용진 의원(서울 강북을)은 지난 24일 “민주노총을 비롯한 노동운동계가 전태일 정신을 잃어버리고 있다”고 비판했다.
박용진 의원은 24일 오후 6시 대구 중구 남산동에 위치한 전태일 열사 생가를 방문해 “전태일의 정신을 따르겠다고 하는 민주노총이나 노동운동이 전태일 풀빵 정신, 작은 거라도 나누려고 하는 나눔의 정신, 연대의 정신을 혹시 잃어버린 것은 아닌가 싶다”며 “부조리와 불공정에 도전하고 싸울 때는 안 그런데, 조직체계가 갖춰지면 형식을 지키려고 하고, 초심을 잊어버리는데, 노동운동도 전태일 정신은 잊어버리고 앙상하게 구호만, 조직만 남고 정신은 발현되지 못하는 부분이 있는 것 같아 안타깝다”고 말했다.
박 의원은 “지금의 민주노총, 노동운동계가 있기까지 많은 노동자들의 연대와 희생이 있었다”면서 “노동운동이 성장하는 과정에서 받은 사회적 연대에 걸맞게 ‘더 큰 우리’를 위하고 있는지 늘 돌이켜봐야 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박 의원은 “노동조합조차 만들지 못하는 노동자, 기존의 노동운동이나 제도에서 보호받지 못하는 플랫폼 노동자, 비정규직 노동자들과 함께 해야 한다”면서 “나눔과 연대라는 전태일 정신을 잃어버리면 안 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법인세 인하나 공무원 연금 개혁 등 정책을 논의하는 파트너로서 민주노총에 대해 “모든 문제에서 민주노총이 지금의 비정규직, 대공장, 취업해 있는 사람들의 방어적 운동만 생각한다면 사회적 논의를 끌고 갈 수 있는 정치적 영향력에서 자꾸 힘을 잃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박 의원은 “더 전략적으로, 담장 밖으로 나와야 한다. 그렇게 해야 국가 운영의 주요 주체로서 노동조합, 노동운동이 서고 정치적 영향력도 강화될 것”이라며 “정년 연장, 연금 개혁, 노동시장 개혁 등의 문제에서 당연히 민주노총과 한국노총이 대화와 합의의 주체여야 한다”면서 “사회적 합의를 팽개치고 투쟁으로만 돌파하려고 하면 지금까지 희생한 사람들의 노력을 무위로 돌리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서 “민주노총의 성장 과정, 투쟁 과정에서 3번이나 감옥 다녀온 사람으로서 조심스럽지만 이런 말씀을 드릴 수 있는 자격이 있다고 본다”고 덧붙였다.
박 의원은 “대선 출마를 결심하고 청계천에 있는 전태일 열사 동상 앞에서 일하는 사람들의 대통령이 되겠다고 말했다”면서 “연대와 나눔이라는 전태일의 정신, 함께하는 더 큰 우리를 위한 길로 가겠다”고 다짐했다.
강성우 기자 arirangkang@naver.com
<저작권자 ⓒ 시사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관련기사목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