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KT, "미래부 주파수 경매에 불참 검토.. 대책 논의"

구종률 기자 | 기사입력 2013/07/26 [16:38]

KT, "미래부 주파수 경매에 불참 검토.. 대책 논의"

구종률 기자 | 입력 : 2013/07/26 [16:38]
KT가 다음달 개최될 주파수 경매에 불참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26일 KT 고위관계자는 "어제 주요 임원회의에서 주파수 경매를 불참하는 것에 대해 이야기가 나온 것은 맞다"면서 "실제로 많은 임원들이 불참하는 것에 대해 동의하는 의견을 내기도 했다"고 밝혔다. 

이어 "아직 불참을 하는 것으로 결정되지는 않았지만 경매 보이콧을 할 가능성도 충분히 열려있다"면서 "경매 불참시 시나리오를 부문별로 마련해 대책을 마련해 다시 논의하기로 했다"고 덧붙였다. 

KT는 지난 25일 서초사옥에서 올레경영회의 직후 정성복 부회장을 비롯해 주요 사장급과 부문장급 임원들이 모여 주요 임원회의를 갖고 이같은 방안을 논의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현재의 불공정한 경매안이 지속될 경우 주파수 확보를 못하거나 천문학적인 비용을 들여서 확보할 수 밖에 없다는 회의적인 시각이 나온 것으로 전해졌다. 

일부에서는 불참할 경우 이동통신사업에서 경쟁사에게 밀릴 수 밖에 없다며 반대의견도 나왔으나 현재 경매안으로는 이득보다는 잃는 것이 더 많다는 의견이 모아지면서 대책이 필요하다는 것으로 가닥이 잡힌 것으로 알려졌다. 

KT는 그동안 노조까지 나서 미래부가 결정한 주파수 경매안에 대해 적극 반대하고 나섰다. 

KT는 주파수 경매가 들어갈 경우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가 담합해 경매액을 계속 올려 KT가 노리고 있는 1.8㎓ 인근 대역 주파수 비용이 천정부지로 오를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하지만 전날 미래부 최문기 장관은 "주파수 경매안의 변화는 절대 없으며, 주파수 대금도 8년에 나눠서 내기 때문에 1년에 1000억 정도 밖에 들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밝힌 바 있다. 

한편, KT는 노조까지 시위에 나서 경매방식 변경을 요구해왔지만 어제 최문기 미래부 장관이 "할당 방식 변경은 없다"고 쐐기를 박자 '경매 보이콧'이라는 초강경 카드를 꺼내든 것으로 풀이된다.

이에 대해 경쟁사들은 KT 인접대역이 포함된 것만 해도 특혜라고 주장할 판인데 경매방식을 변경해 이것을 싸게 달라고 주장하는 것은 어불성설이라는 반응이다.
  • 도배방지 이미지

담합,경매방식,미래부,KT,주파수경매 관련기사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