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007년 남북정상회담 당시 노무현 전 대통령을 수행했던 박선원 전 비서관은 "김정일 위원장이 노무현 전 대통령에게 '남측 NLL과 북측 해상 경계선 사이에 서해 공동어로를 하면 어떻겠느냐'고 제안했지만 노 전 대통령은 'NLL은 남한에서 영토로 인식되는 힘이 있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어떻게 할 수 없다'고 분명히 전했다"고 증언했다. 박 전 비서관에 따르면, 당시 노무현 전 대통령은 "NLL 문제는 특구공단 방식으로 풀어야 한다"며 "서해 해주지역에 공동어로구역, 해주공단 개발, 한강하구 공동 이용 등을 묶어서 포괄적으로 이용해 나가자"고 서해협력지대 설치를 김 위원장에게 역제의했다. 이어 "결국 김정일 위원장은 오후 회담 전에 국방위 책임자급 장성들과 회의를 열어 노 전 대통령의 서해 평화협력지대 제안을 수용했다"고도 밝혔다. 박선원 전 비서관은 "그러니까 NLL은 현실적으로 해상경계선으로 작동하고 있고 우리는 그렇게 보고 있다. 이건 손댈 수 없다. 그렇기 때문에 그 선을 손대지 말고 서해평화협력지대를 만들어 바꿀 수 있는 방안으로 우회해서 가겠다는 게 대통령의 입장이다. 그런 방향에서 말한 것이다. 우리 내부에서도 회의할 때 NLL 포기라고 하는 건 아예 상상에도 없었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그는 정상회담에 앞서 진행된 청와대와 관계 기관의 사전 준비 모임에서도 노 전 대통령이 NLL을 포기하지 않겠다는 분명한 입장을 드러냈다고 밝혔다. 구체적으로 "NLL은 공짜로 주지 않는다"(2007년 8월15일 관저회의), "NLL 기본선을 지킨다는 전제로 해주 직항로만 해도 실리가 큰 것 아닌가"(2007년 8월18일 NLL 등 근본문제 전문가회의) 등 노 전 대통령의 발언을 공개했다. 마지막으로 '노무현 전 대통령이 이 광경을 목격했다면 지금 뭐라고 했겠냐'는 질문에는 "너무 한심하다, 이러면 안 되는데 정말 어떻게 나라가 저런 식으로 돌아갈 수가 있느냐 그렇게 한탄하지 않겠냐"고 답변했다. <저작권자 ⓒ 시사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