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마약 문제가 대두되고 고위층 성접대 의혹에 대한 경찰 수사가 본격화되면서 건설업자 A(52)씨를 둘러싼 새로운 의혹들도 끊임 없이 제기되고 있다.
경찰은 A씨의 강원도 원주 별장에서 실제로 성접대가 이뤄졌는지 뿐만 아니라 마약 범죄가 있었는지, A씨가 건설 공사를 주수하면서 유력 인사들에게 특혜를 받았는지 여부 등에 관심을 두고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 수사팀은 경찰청 범죄정보과, 서울경찰청 광역수사대, 마약수사대 등으로부터 인력을 파견받아 수사를 진행 중이다. A씨 주변에서 발생했을 수 있는 불법 행위들을 종합적으로 파악하기 위한 목적이다. 경찰은 23일 현재까지 10여명의 참고인으로부터 관련 진술을 확보했으며 앞으로도 계속 A씨의 주변 인물들을 소환해 광범위하게 기초 조사를 벌여 나간다는 계획이다. ◇별장 드나든 고위층 더 있나? 김학의 전 법무부 차관이 사의를 표명한 뒤에도 성접대를 받은 고위층이 더 있다는 의혹은 끊임 없이 제기되고 있다. 경찰은 참고인 조사 과정에서 A씨를 최초로 고소한 여성 사업가 B(52·여)씨를 포함해 3명의 여성 참고인으로부터 고위 공직자들이 성접대를 받았다는 진술을 확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경찰은 참고인들이 거론한 다른 유력 인사들에 대해서는 철저히 함구하고 있다. '성접대 리스트'에 유력 인사 10여명의 이름이 올라 있다는 소문도 있지만 이 사실도 부인하고 있다. 하지만 전·현직 고위 관료 5~6명, 전직 국회의원, 유명 병원장, 금융업자, 언론인 등 10여명이 경찰의 수사 선상에 올라 있다는 소문은 끊이지 않고 있다. 성접대 정황을 포착할 수 있는 수단 중 하나는 동영상이다. 경찰은 참고인으로부터 2분 분량의 동영상을 제출받아 영상 속 인물의 신원을 파악 중이다. 그러나 이 동영상은 화질이 좋지 않아 실제 성접대 장면인지 분간하기 쉽지 않고 등장하는 인물들도 제한적이다. 당초 B씨 등 A씨의 주변 인물들은 A씨가 차량 안에 CD 7장 분량의 성접대 동영상을 보관하고 있었다고 주장했다. 이 동영상이 실제로 존재할 경우 성접대 관련자들에 대한 수사도 급물살을 탈 수 있다. 다만 경찰은 현재까지 확보한 동영상이 단 1개 뿐이라고 밝히고 있다. ◇'마약 파티' 벌어졌나? 성접대 의혹은 지난해 11월 B씨는 서울 서초경찰서에 A씨를 고소하면서 수면 위로 떠오르기 시작했다. 당시 B씨는 A씨가 자신에게 약물을 먹이고 성폭행했다고 주장했다. 당시 경찰은 A씨의 차량 안에서 로라제팜 1정을 발견했다. 로라제팜은 강력한 진정·수면·예비마취 효과를 지녀 마약류로 분류되는 향정신성의약품이다. 하지만 A씨와 B씨는 약물 검사에서 모두 음성 판정을 받았고 경찰은 A씨의 불법무기 소지 혐의 등에 대해서만 기소 의견으로 검찰에 송치했다. 하지만 경찰은 성접대 의혹과 참고인들을 조사하면서 A씨가 마약류 관련 범행을 저질렀을 수 있다고 보고 수사를 확대하고 있다. 성접대에 동원됐다고 진술한 일부 여성들은 경찰 조사에서 A씨가 피로회복제로 속여 약물을 먹이고 자신을 성폭행했다고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 A씨와 여성들이 마약을 투약한 상태에서 집단 성관계를 가졌다는 주변인들의 증언까지 방송 인터뷰 등을 통해 공개되고 있다. 경찰은 현재까지 A씨를 포함해 모두 3명에 대해 출국금지 조치를 취했는데 이 중 한 명은 마약업자인 것으로 알려졌다. ◇건설 공사 특혜 의혹도 전면 수사 경찰이 가장 주력하고 있는 부분은 A씨가 사업 관련 이권을 챙겼는지 여부다. A씨가 유력 인사들에게 향응을 제공했더라도 대가성이 입증되지 않으면 형사 처벌이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경찰은 우선 A씨가 대표로 있는 업체가 수주한 공사들을 들여다보고 있다. 이 업체는 한 대학병원의 인테리어 공사와 경찰교육원 체육시설 공사를 수주했는데 이 과정에서 특혜가 주어졌다는 의혹이 있다. 또 A씨가 지은 빌라 중 1채를 사정당국 전직 간부가 시세보다 낮은 가격에 매입했다는 의혹에 대해서도 사실 관계를 확인 중이다. 경찰은 A씨가 공사 관련 특혜를 얻은 사실이 확인되거나 A씨가 제공한 향응의 대가성이 파악된다면 해당 인물들을 소환할 수도 있다는 입장이다. 경찰 관계자는 "(성접대 사실) 그 자체로 소환 대상은 아닐 것 같다"며 "대가성도 검증하고 소환하는 것이 맞다는 입장"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시사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