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박우량 전남 신안군수와 저녁식사를 함께했다. 신안군 프로젝트 중 문화예술부문과 관련해 내게 일종의 자문을 하는 자리였다. 이 자리에서 신안군 자랑이 쏟아져 나왔다. “우리 신안군으로 말하자면 1000여 곳의 천혜의 아름다운 섬을 가진 곳으로….” 이 첫마디에 ‘이 양반 뻥이 좀 센 사람이군’하는 생각이 들었다. 1000여 곳의 섬 이야기는 듣지도 보지도 못했기 때문이었다. 일개 군이 섬 1000여 곳을 거느리고 있다면 그게 어디 군인가 제국이지 싶었던 것이다.(나중 알고 보니 박 군수의 말은 사실이었다. 그것도 정확히 1000곳 하고도 4곳이 더 있었다.) 그는 그 섬 한 곳에 몇천 평 규모로 김환기 미술관을 짓고 있으며, 앞으로도 이런 색깔 있는 미술관을 몇 개 더 구상하고 싶다고 했는데 미술관 이야기는 그의 멀티프로젝트 중 하나에 불과했다. 그는 활화산처럼 신안 비전을 쏟아냈고 그 실천방안까지 조목조목 열거했다. 말이 자문이지 일방적으로 신안 홍보를 듣고 있는 수준이었다. 그래도 중간중간 치고 들어가 비슷한 사례일 것으로 짐작되는 일본 나오시마(直島)에 대해 설명했다. 안도 다다오가 설계를 총괄한 나오시마 베네세 문화예술 프로젝트가 주목을 받고 있으니 참고해보라고 말하는데 “다 알고 있다”며 “나오시마 정도를 신안에 비교하면 안 된다”는 것이었다. 점입가경이었다. 신안군의 1년 관광객이 이미 몇십만 명이어서 (이 또한 설마 싶은 대목이었다.) 나오시마의 관광객을 추월했고 이뿐만 아니라 그만큼의 돈을 쏟아부은 이윤이 그 정도라면 자신은 그것을 흑자 경영으로 볼 수 없다는 것이었다. 예사로이 이윤이니 경영이니 하는 말이 나오기 시작했다. 예컨대 경영자 본색을 드러내는 순간이었다. 거 무슨 군정을 회사경영처럼 생각하느냐고 말하려는데 동석한 한 지인이 나를 쿡 찌르며 최근 박 군수가 CEO들이 받는 무슨 상을 받은 바 있다고 귀띔해 주었다. “다만 우리가 나오시마에 꿀리는 것은…” 갑자기 박 군수의 목청이 높아지기 시작했다. 안도 같은 건축가에게 작품을 맡기기 어려운 현실적 여건이라는 것이었다. 자금도 그렇지만 크고 작은 모든 공사에 공개입찰을 해야 하는 감시와 불신의 시스템 속에서 안도의 나오시마 같은 총괄적 건축미학을 구현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이 고질적 시스템을 바꿔야 하는데 문제는 교수님들 같은 분이 입을 닫아버리고 있는 것이라고 했다. 뜻밖에 화살은 내게 돌아오고 있었다. 다시 슬로시티 얘기가 나와 영국의 코츠월드 이야기를 했는데 거기는 한번 참관을 해보고 싶다고 했다. 이렇게 불꽃 튀는 얘기를 주고받자니 그 맛있다는 목포 홍어 삼합에는 젓가락 갈 새도 없었는데, 그는 오후 9시쯤 “미안하지만 먼저 좀 일어나야 되겠다”고 했다. 아마 다음 약속이 잡혀있는 듯했다. 보나마나 거기 가서도 “신안은 1000여 곳의 아름다운 섬으로…”로 시작하여 속사포처럼 자랑을 쏟아놓을 것이다. 박 군수의 이 일방적이고도 사뭇 무례하기까지 한 자리가 그래도 유쾌했던 것은 한 지자체장이 가진 열정과 비전, 그리고 자기 고장에 대한 강한 애정을 확인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민선 지방자치단체장 5기를 넘기면서 희망적인 것은 부쩍 박 군수 같은 패기와 열정의 소유자를 자주 만나게 된다는 점이다. 일례로 고동주 전 통영시장은 어떻게 하면 통영을 보다 아름답고 수준 높은 문화예술의 고장을 만들지에 참으로 골몰한 사람이었다. 통영의 한 골목시장 횟집에서 그와 윤이상 음악제며 청마거리, 남망산 조각공원 등에 관해 많은 이야기를 나누었던 추억이 아직도 생생하다. 생명환경농업과 공룡축제로 일거에 고성의 존재감을 드높인 이학렬 경남 고성군수나 신안의 박 군수와는 정반대 스타일이지만 침착하고 조용하게 복합문화 장기비전을 펼쳐가는 이환주 남원시장. 지켜내는 것이 얼마나 아름다운지를 보여준, 그래서 제1회 세라토닌 문화상을 수상한 조유행 하동군수도 인상적인 지자체장들이었다. 그리고 금산에 세계적 건축가 장 미셸 빌모트로 하여금 기념비적인 복합 문화회관을 짓게 하여 문화예술의 활기를 불어넣은 김행기 전 금산군수와 과천 문화예술축제를 세계적 수준으로 끌어올려 에든버러 페스티벌을 떠오르게 할 정도로 성장시킨 여인국 과천시장 또한 훌륭한 문화 리더들이다. 광역 지자체장으로 가장 기억에 남는 이는 손학규 전 경기지사였다. 특히 경기도 문화의 전당을 모체로 해 모세혈관 문화운동 등 신선한 운동을 펼쳤는데 문화예술의 거의 전 영역에서 전문가를 뺨치는 식견과 추진력을 갖춘 사람으로 기억된다. 이 땅은 우리와 우리의 자식들과 그 자식들의 자식이 이어가며 삶을 담아가야 할 소중한 공간이다. 우리 지자체장들이 ‘너 나 할 것 없이 이 점을 인식하여 살기 좋은 곳, 아름다운 곳, 문화예술이 들꽃처럼 만발하는 곳으로 만들기에 열성을 다한다면…’하는 소망을 품어본다. 그래서 떠난 사람들마저 돌아오고 싶은 곳으로 만들어주면 오죽 좋을까. 김병종 서울대 교수·화가 <저작권자 ⓒ 시사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손학규, 김변종 관련기사목록
|
많이 본 기사
단신 많이 본 기사
|